#3 29

2016 05 30

제때 밥먹기 힘들어 챙겼을 컵라면. 쌔가빠지게 일하면 나아지겠지 그런 마음이었겠지. 몸 챙겨가며 일하기 보단 일단 떨어진 일부터 해야지만 마음이 편할 수 있었겠지. 다치면 저만 손해란 얘길 들어봐야 그저 말 뿐. 그렇게 일해선 제 때 정리가 되지도 않았을테지. 지금을 살고 있고, 또 앞으로도 살아갈 '나'란 존재를 소중히 생각해야겠지만. 나이 서른 넘어 세상 물 좀 먹어봤단 나도. 막상 일해보니 허기질 정도가 아니면 점심은 건너뛰기 일수였고. 다쳐도 그냥 그자릴 지키고 있게 되더라지. 기사를 읽고 또 읽어봐도. 자신을 소중히 여길 여유도 없도록 만들었을 사회 구조가 미워도 너무 미워질따름.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나홀로 작업에 날아간 '19살의 꿈'http://v.media.daum.net/v/20..

#3/날적이 2016.05.30

2015 사랑의 몰래산타 작전 개시!

사랑의 몰래산타란? 크리스마스는 종교를 떠나 연말연시를 보내는 모든 이들이 서로에게 감사하고, 가족들 간에 따뜻한 정을 나누는 있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하지만, 이런 날에도 소외된 우리의 이웃들이 있습니다. ‘사랑의 몰래산타’는 더 이상 산타를 믿기 어려워하는 어린이들에게 참가자들이 일일 몰래산타가 되어주는 활동으로 소외된 이웃들에게 크리스마스를 맞이하여 몰래산타 대작전을 통해 따뜻한 정을 나누는 봉사활동입니다. 아울러 행사에 참가한 몰래산타들에게는 각박한 사회 속에서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임과 동시에 취업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더불어 사는 삶을 느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조금의 마음과 조금의 시간 그리고 조금의 물질이 모아진다면 우리의 이웃에게는 물론이고 우리들 마음까지 따뜻해..

#3/날적이 2015.11.02

언론사 기준이 직원 숫자?

앞으로 등록 언론 기준이 직원수가 된다고 합니다. 어차피 독자들에게 읽히지 않으면. 광고가 없으면 살아남지 못할테고, 부정적인 사례로 언급되는 것들도 대부분 어느정도 규모가 되는 곳에서나 할 수 있는 것들인데. 애꿎게 군소 인터넷 언론들만 죽어나게 생겼더군요. 현재 기준으로 인터넷 언론 85%가 사라지게 될 판이라니 1개 도에 1개 언론사만 남기던 그 어느 시대가 오버랩 되는 것도 무리가 아닐 것 같네요. 관련링크http://www.pn.or.kr/news/articleView.html?idxno=13726

#3/노트 2015.10.21

체감

경북 북부권 가뭄이 '최악'이라 할만큼 심각하답니다. 지나다닐 일 없으니 체감이 잘 안되긴한데. 댐 저수율이 낮은 곳은 평년대비 13.3%에 불과하다니 숫자만으로도 충분히 그 심각성이 느껴지네요. 반면 체감이 잘 안되긴한데, 그렇다고 숫자를 봐도 그다지 느껴지는게 없는게 있는데요. 취업율, 실업율입니다. 가뭄은 천재지변이지만, 일하는 건 사람이 하는 일인데... 정안수 떠 놓고 비 내리기를 기다리는 것보다야 해결하기 쉽지 않겠습니까. 모쪼록 '체감'팍팍되는 날을 기대해봅니다. 2015.10.15

#3/노트 2015.10.15

괜한 국론분열

현재 한국사 교과서는 이명박 정부하에서 만들어진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따라 제작돼 박근혜 정부가 검정심의한 교과서랍니다. 다만 그 가운데 '친일 독재를 미화'했다는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곳이 한군데도 없을 뿐이죠.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고, 내용에 대해서도 논의와 조정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그런데 굳이 하나의 '국정교과서'가 필요한 이유가 뭘까요? 괜한 국론분열만 일으킨 것 같단 생각은 저만 그런걸까요. 2015.10.14

#3/노트 2015.10.14

어디로 갔을까

대구에 푸드트럭이 '1대'만 남았다네요. 전국적으로는 288대 중 44대만 남았답니다. '6천개의 새 일자리, 400억원의 부가가치'는 어디로 갔을까요?또 궁금할 수 밖에 없는게. 평소 좋아하던 '글로벌 스텐다드'로 따지자면 절~대 할일이 없을 것 같은 일이 생겼더군요. 역사교과서 국정화입니다. OECD 국가 중에선 없고. 몽골, 베트남, 북한, 스리랑카 등이 채택하고 있다는데요. 평소 즐겨찾던 '글로벌 스텐다드'는 어디로 갔을까요? 2015.10.13

#3/노트 2015.10.13

우정본부 토요 택배 재개에 대한 아쉬움

우정본부가 토요일 택배 중단 이후 물동량이 월평균 15%나 감소하는 등 경영상의 이유로 '다시' 토요일 택배를 시작한다고 한다. 집배원들에겐 그렇지 않아도 주당 평균 노동시간이 6.46시간이나 되는 등 평소에도 강도 높은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가운데 유일한 '낙'이라던 토요휴무가 없어지는 셈이다. 여타 같은 업종 종사자들에겐 "우리도 우체국처럼 토요일 배송도 없어져야 좀 살만할낀데..."라던 희망의 상징(!?) 같은 곳이 없어지게 되었다. 생존경쟁도 적정선이 있으면 좋으려만. 당장 모두에게 그걸 기대하긴 어려울테니. 그나마 공공성이 있는 곳에서나마 주말은 주말답게 보낼 수 있도록 나서주면 좋으련만. 많이 아쉬울 따름. 2015.10. 7

#3/노트 2015.10.07

부자 기업, 가난한 국민

우리나라 국민총소득(GNI) 중 기업소득 비중이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한다. 기업의 '소득'이 임금으로 바뀌어 가계로 흘러갔으면 가계소득 비중도 어느정도를 유지했을텐데 그렇지 않았다는것. 이러니 1인당 국민소득 몇 만불을 외쳐본들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수가 없었던게 당연한 일 아닌가. 2015.10.6. [참고]민중의 소리 - [사설] 기업은 부자인데, 사람은 가난한 나라

#3/노트 2015.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