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읽기 282

7월 8일, 대구뉴스읽기

* 메르스 이후 달라진 병원 방문 절차 -면회시간 엄수 및 면회객 인적사항 기재 -응급실 환자 1명당 보호자 1명 -응급실에 허가받은 사람만 들어갈 수 있는 '스마트통제시스템' 도입 예정 * 남구청, '메르스 공무원' 중징계 처분 요구하기로 * 북구 금호강 주변 '화담 휴 프로젝트' - 국비 50억, 시비 120억 들여 자연휴양림, 숲 체험관 등 조성 * 대구 기업 45% 여름휴가 3일만. 일수 줄이고 휴가비 없거나 동결 * 대구 남구 재건축/재개발 바람. 대명동, 봉덕동 5곳 시공사 선정. 947가구 순차 진행 * 해맞이 다리 '사고 다리' 오명. 자전거에서 내려 건너가야 * 효목2동 효신로16길 인근 주민들 집회, "동대구환승센터 박차장 안돼!" * 대구시, 전국 최초로 국가하천 부지에 '푸드트럭' ..

뉴스 읽기 2015.07.08

7월 7일 대구뉴스읽기

* 대구 강력범죄 96%가 절도/폭력 달서구(6천688건), 동구(4천483건), 수성구(4천111건), 북구(4천105건), 서구(2천955건), 중구(2천971건), 남구(2천289건), 달성군(1천357건) * 그리스 국민 61% "채권단 긴축안 반대". 유로존을 탈퇴하는 '그렉시트'까지 이어질 경우엔 세계경제에 적잖은 충격 : 채권단의 요구와 그리스 국민들이 바라는 미래가 같을 순 없는 법. 그리스 국민들의 강수. * 국회법 개정안 자동 폐기. 결국 청와대 뜻대로... * 외발스쿠터 법적으론 '놀이기구', 안전규제 대상 안돼. * 쓰레기 매립층 발견 평리동 "새동네". 대구시, 1년 간 지반침하 모니터링 계획.

뉴스 읽기 2015.07.07

7월 6일 대구뉴스읽기

* 기초의회 업무추진비, 지출금액 96%가 간담회 명목 식당·술집서 사용- 동구의회 의장의 경우, 특정 식당에서 업무추진비의 70% 사용: 1년간 1,300만원 가량 한 식당에서 밥을 먹었단건데. 동네에 식당이 한 두곳도 아니고. "가까워서"란 이야기만으론 설득력이 떨어질 수 밖에.: 정보공개 청구하기 이전에 애초에 투명하게 자료중 하나가 되어야 쌈짓돈 될 일 없을 것. * 제9호 태풍 '찬홈'(CHAN-HOM)의 영향으로 7∼9일(화~목요일) 대구경북에 비 - 기상청 * 일회용 커피컵 '청소전쟁'. 하루 20~30만개 추정 * 생활폐기물 배출은 늘고, 재활용은 줄어들어. 1인 당 생활폐기물 하루 배출량 전국 최고수준 * 대구변호사회, '소액사건법률지원단 운영' 등 홍보. 소액사건에 한 해 수임료 50만..

뉴스 읽기 2015.07.06

7월 4일 대구뉴스읽기

* 대구 교통사고 사망 173명 중 132명이 무당횡단 등- 시, "올 10월까지 무단횡단 방지시설 등 교통환경 개선에 32억원 추가 투입" * 성서 모다아울렛 주변 불법 주정차. 8억8천만원 들여 공영주차장까지 만들었지만 여전- 달서구청, 아예 '보행자 중심도로 사업' 공모하기로 * 중구청, 공구 기술 문화 체험 '북성로 역사전통마을' 조성 추진. 3년간 6억원 투입. * 하루 평균 가사 노동시간 남자 30분, 여자 3시간- 대구여성가족재단, 양성평등주간 맞이 '통계로 본 대구여성의 삶' 소책자 형태 발표 * 65세 이상 고용률 대구 24%, 전국평균 30%. - 대부분 임시/일용직... 고용보험법 사각지대 그늘 * 대구 노인여가복지시설 구/군별 편차- 시설당 노인인구수 대비 74명~431명에 이르기까..

뉴스 읽기 2015.07.04

7월 3일 대구뉴스읽기

* 총 455억 투입돼 현재 5곳에서 실시하고 있는 생태하천 사업. 10월 완공 예정 범어천 사례 살펴보니 수질개선, 홍수대비는 효과적이지만, 생태복원 효과는 미흡. : '생태'하천? '인공'하천! * 시, 첨단 무대장치 기술 개발 CT(Culture Technology)공연 플렉스파크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도청후조적지, 두류공원 일대 염두에 둬. * 대구시교육청 추경예산안 의회 제출. 누리과정교육비, 명퇴 수당 전액 편성 등 24일 본회의 거쳐 확정 예정. * 공정위 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 개정. 지역업체, "최소한의 장치마저 없애면 다 죽는다" 반발 * 구청장은 내년 총선, 부구청장은 구청장 보선 출마? 어수선한 달서구청 * 대구 버스 노선 개편안 발표. 8월 1일부터 시행 상세안..

뉴스 읽기 2015.07.03

7월 2일 대구뉴스읽기

* 시, 2018년까지 국/시비 44억 투입, 구/군별 유휴시설 8개소 생활문화센터로 리모델링 계획 * 국회법 갈등, 3040 "청와대 탓", 5060 "당 탓"(영남일보, 폴스미스 여론조사) * 김광석길 주차장 건립 사업. 총 25억 사업비 중 절반인 자체 사업 예산을 언제마련하느냐가 관건. * 상습 임금체불 미래대 이사장 불구속 기소. 8개월간 임금, 수당 5억 8천만원 체불 혐의 *낙동강 녹조 확산. 대구 취수원까지 번져. - 대구환경청 "수돗물엔 영향 없어" * 2015 사회적 경제 한마당, 4일 기념식 비롯 12일까지 대구시 일원에서 진행 예정. - 스크랩 - * 골드만삭스 ‘국채사기’가 불러온 그리스 채무불이행 http://m.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

뉴스 읽기 2015.07.02

7월 1일 대구뉴스읽기

* 10월부터 경북도청 이전. - 도의회, 신청사에서 11월 정례회 개최 예정 * 방촌작은도서관, 안전문제로 당분간 폐쇄. 연말쯤 방촌시장 내 재개관 예정. * 달서구 의회 일부 의원, 새누리당 행사 참석 위해 행정사무감사는 뒷전 : 본업이 무엇인지 헷갈리시면 곤란하죠. * 대구 도시가스 요금 1.02% 인상. : 보급 확대 예산마련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데. 올려놓고 얼마나 '확대'하나도 지켜볼 일. * 대구 유일 생태하천 '동화천' 관리미흡. 전체 길이의 1/3이 정비됐지만, 여전히 각종 쓰레기는 물론 일부 공장과 상가에서 나오는 폐수들로 오염 * 자동이체 내역을 한눈에 조회, 해지할 수 있는 '계좌이동제' 시작 . '자동이체통합관리시스템'(페이인포 www.payinfo.of.kr) 오픈 * "개성공..

뉴스 읽기 2015.07.01

6월 30일 대구뉴스읽기

* 7월 2일, 대구시-밀라노시 자매결연 협정 체결. : 이번에는 '진짜'라네요. * 주5일제 도입됐으나 국민 81.3% 여전히 피곤하다 느껴. [2014년 생활시간조사(통계청)]- 노동·학습·이동 등 '의무시간'이 하루 7시간57분(33.1%)으로 5년 전보다 20분 감소, 평균수면시간은 7시59분으로 9분 늘어 * 최근 5년간 대구지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10%로 전국 최고.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 16.3%, 의류 및 신발 16.1%,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15.3%, 음식 및 숙박 12.6%,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10.0% 등 * 여-야, 제2연평해전 순직장병들 전사자로 격상 적극 추진. 당시 법령상 전사, 순직이 구분되지 않아 3천만원~6천만원의 공무상 사망자 사망보상금만 일괄 적용됐었..

뉴스 읽기 2015.06.30

6월 29일 대구뉴스읽기

* 대구 버스 도시철도 요금 인상 보류. 준공영제개혁 이후 상황 지켜 본 후 검토 예정. * 대명천 도시관로, 수리해가며 사용하면 년 1억, 전면 교체비용은 200억... 달서구청, 시 상수도사업본부 운영권 떠넘기기 * 예상 교통량 30%↓ 365억 '돈값' 못하는 무학터널(청호로(지산동)~대구경찰청) *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대구 동구(을)) 거취, 오늘이 분수령 * 시, 오늘 '비정규직 고용안정 실천 협약식' 개최 예정. 공기업 무기계약직 호봉제 도입 등 계획 밝히며 민간부문 동참 촉구 계획: 당연히 했어야 할 것들마저 '대책'. 재탕, 삼탕 아니려면 '뚜렷한'게 있어야. * 29일, "최저임금 1만원" 촉구 전국노동자대회 서울에서 열려: 서민들 지갑이 든든해야! * 미국 기준금리가 3%로 오르면..

뉴스 읽기 2015.06.29

6월 26일 대구뉴스읽기

* 대법원, "기성회비 돌려줄 필요 없다" 법적 근거는 없으나 목적에 맞게 사용했다면 적법. 경북대 등 7개 대학 기성회비 반환 소송 학생들 패소: 이젠 없어진(질) '기성회비'에 면죄부를 주는 꼴. * 4대강 사업으로 확보한 물을 가뭄 때 농업용수로 활용하려면 "1조900억" 더 필요. 상주 등 3곳 시범지구 선정.: 공사는 도대체 왜 한건지. * 정부 하반기 경기부양책 발표(http://www.mosf.go.kr/policy/policy35/sub_4_1.html). '내수경기 부양' 대 '세수 결손 메꾸기' * 27일 경북도 공무원선발시험. 사상최대 1만3천여명 응시 * 청도 송전탑 반대 사회활동가, "부당한 벌금형에 불복종" 벌금 대신 '노역형' 선택 * 대통령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 여..

뉴스 읽기 2015.06.26